2005년 7월 4일, 도봉산으로 향합니다.

<북한산 찬가>

<주봉 근경>

<도봉산 암봉 - 포대에서>
<회룡계곡 옆의 소폭포>

<회룡사옆 계곡의 현수막>

<회룡폭포>

<등산로>
비도 그친데 다가 해까지 얼굴을 내밀어 상쾌한 산행이 예상이 되네요.
꽃을 찾아보기 위해 도봉산장-만월암-포대-회룡계곡으로 코스를 잡았고요.
<우이암>
도봉산 입구의 버스 종점에서 멀리보이는 우이암을 잡아 봅니다.
시계가 맑아 그런데로 그림이 나왔네요.
이렇게 보니까 누군가 얘기 했던 것처럼 우이 보다는 두손을 모으고 기도를 하는 여인이나 성모마리아의 모습으로 보입니다.
<북한산 찬가>
시원한 물소리를 들으며 올라가는데 약수터를 지나니 '북한산찬가비'가 눈에 들어오네요.
화단 가운데 있어 가까이 접근하기가 좀... 길가에서 땡겨봅니다.
나는 북한산과의 만남을 계기로
인생 이전과 인생 이후로 나눈다
내가 겪은 모든 굴욕은
내 스스로 사서 당한 굴욕이란것을 알았다
--이하 하략--
북한산을 만나고 나서 모든 결과가 나의 잘못임을 알았다는 시인의 철저한 자기 성찰이 전해 옵니다.
<선인봉>
석굴암 밑에 도착하여 푸른 하늘과 흰 구름을 배경으로 선인봉 암장을 담아 봅니다.
계획은 여기서 만월암으로 가는 것인데 맑은 하늘을 보니 마당바위로 가서 도봉산의 암봉을 담고 싶은 마음이 생겨 마당바위로 옮깁니다.
<도봉산암봉>
시계도 좋고 배경도 좋았는데 노출을 잘 못되어 그림이 어둡게 나왔습니다.
얼마를 연습해여 내공이 좀 올라 갈지?

<선인, 만장봉>
<선인, 만장봉>
선인, 만장봉 만을 따로 떼어내서 담아보고요.
오늘 따라 더 멋있게 보입니다.
여기서 신선대로 올라 포대로 넘어가려니 뭔가 섭하여 관음사 쪽으로 발길을 돌려 주봉으로 갑니다.
<주봉 근경>
주봉에 도착, 그 앞 바위에 올라 억지로 주봉을 담아봅니다.
주봉이 공간을 다 차지하여 답답해 보이지만 이렇게라도 그림 하나는 남겼고요.

<뜀바위>
<뜀바위>
주봉에서 보이는 뜀바위 봉우리도 하나 담고 나서 신선대로 향합니다.
<신선대에서>
신선대에 도착, 한숨을 돌리고 커피와 간식을 합니다.
오랫만에 자운봉을 배경으로 기념사진도 하나 담고요.
짐을 꾸려 포대로 넘어 갑니다.
<도봉산 암봉 - 포대에서>
포대로 넘어가 도봉산의 암봉을 둘러봅니다.
언제봐도 이렇게 빼어난 자태와 위용에 찬사를 보내며 조금 욕심을 내요 선인봉에서 신선대, Y계곡까지 파노라마로 담아 봅니다.
수평을 맞추다 보니 산의 깊은 맛이 날라가 버렸네요.
포대능선을 타고 사패산 쪽으로 향합니다.
산불감시소에서 잠시 쉰 후에 계속 능선을 따라 가다가 회룡계곡으로 내려옵니다.
시원한 계곡물에 세수를 하고 고개를 들어보니 저쪽 산 기슭에 조그만 실 폭포가 눈에 들어옵니다.
<회룡사옆 계곡의 현수막>
회룡사에 들리니 경내는 조용하기만 하고 진도개를 보이는 커다란 개 세마리가 낯선 사람을 보고 경계의 눈빛을 보냅니다.
조용한 경내를 한 바퀴 둘러보고 나오는데 계곡을 가로질러 걸려 있는 현수막이 눈에 들어 오네요.
<이곳은 회룡사 경내이오니 계곡출입을 삼가해 주십시오!>
아니 이 무슨 해괴한 소리입니까?
대한민국의 공유수면관리법에 의하면 물이 흐르는 곳은 모두 국가의 재산으로 알고 있는데 어떻게 회룡사의 경내가 되는지?
그러고 보니 회룡사 위 쪽 부터 등산로를 따라 회룡사 쪽으로 철조망 까지 쳐 놓았던데...
필요하다면 관리공단에서 출입을 통제하는 것이 옳은것 같아 국립공원관리공단 원도봉관리소에 전화를 했더니 현장 파악을 해서 조치를 취하겠다고 합니다.
<회룡폭포>
회룡폭포에도 물이 많이 불어 떨어지는 물줄기도 시원해 보입니다.
오늘은 날씨가 맑고 시계가 좋아 사진을 담느라고 처음 계획한 코스와는 다르게 산행을 했지만 시원한 계곡의 물소리에 피로가 말끔히 씻겨지는 산행이었읍니다.
<등산로>
'산돌이와 들꽃 일지' 카테고리의 다른 글
중국 황산의 꽃 (0) | 2005.07.28 |
---|---|
도봉산의 꽃 (050704) (0) | 2005.07.14 |
북한산 (050702) 소귀천-대동문-칼바위능선 (0) | 2005.07.06 |
도봉산의 꽃 (050630) (0) | 2005.07.03 |
도봉산 (050630) 선인봉 암벽의 현수막 (0) | 2005.07.01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