도봉산의 서원마을에 있는 도봉서원 앞 개울가에는 우암 송시열 선생의 옆으로 뉘여서 새겨진"제월광풍갱별전(霽月光風更別傳)"이란 바위글씨(암각문)가 있는데 그 머리맡에는 초서로 힘있게 새겨놓은 '무우대(舞雩臺)’라는 글씨가 세로로 서있고 그 옆에 조그맣게 한수옹(寒水翁)이라고 글쓴이의 별호도 있습니다.
<무우대>
<무우대>
무우대(舞雩臺)의 옆에 조그만 글씨로 씌여 있는 한수옹(寒水翁)은 조선 후기의 학자인 수암(遂菴) 또는 한수재(寒水齋)라는 호를 썼던 권상하(權尙夏: 1641~1721) 선생입니다.
선생은 인조19년(1641)에 태어나 송시열의 수제자였고, 유학의 중창자이며 기호학파의 지도자였답니다.
숙종1년(1674)에 그 전 효종10년(1659)에 있었던 자의대비의 복제문제로 송시열이 관작을 추탈당하고 덕원에 유배되고 남인이 정권을 잡자 관계진출을 단념하고 청풍의 산중에 은거하며 학문에 전념하다가 1689년 기사환국으로 송시열이 제주에 유배되고 이어서 후명(後命)을 받게되자 유배지에 달려가 이별을 고하고 의복과 서적 등 유품을 수습하였다고요.
<무우대>
선생은 계속되는 서인과 남인과의 당쟁에 초연히 학문에만 몰두하였고 1703년 찬선, 이듬해 호조참판에 이어 1716년까지 13년간 해마다 이조참판, 판윤, 이조판서, 대사헌에 임명되고 1717년 좌찬성에 이어 우의정, 좌의정 1721년에 판중추부사에 임명되었으나 사직소를 올리고 벼슬에 나가지 않았다 합니다.
우암 송시열 선생의 문하에는 내노라 하는 출중한 인재들이 많이 있었으나 권상하 선생은 스승의 학문과 학통을 계승하여 "사문지적전(師門之嫡傳)"으로 불리는 등 송시열 선생의 수제자로 인정을 받았답니다.
<무우대>
붕당기에 살면서도 현실정치 보다는 서경덕, 이황, 기대승, 이이, 성혼 등 선유(先儒)들로 부터 제기된 조선시대 성리학에 대한 체계나 논리적 일관성 문제를 검토하고 규명하는데 힘을 쏟았다고 하네요.
그리하여 16세기에 정립된 이황, 이이의 이론 중 이이, 송시열로 이어지는 기호학퍄의 학통을 계승하고, 발전시키는데 큰 기여를 하였다고요.
이단하, 박세채, 김창협 등과 교유하였다고 하며 문하에도 한원진 등 '강문팔학사'를 배출하였고, 글씨에 능하여 여러 작품을 많이 남겼다고 하며, 청풍의 황강서원 등 10여 곳에 제향되었다고 합니다.
<무우대 >
선생이 언제 이곳에 와서 글씨를 남겼는지 아니면 글씨만 보내어 글씨를 새겼는지는 모르지만 스승인 송시열 선생의 글이 새겨진 바위의 글 머리에 수제자의 글이 새겨져 있어 뭔가 의미를 더하게 합니다.
무우대(舞雩臺)라고 글씨를 새긴 뜻을 되새겨 봅니다.
어느 책에 보니 논어의 선진 편에는 다음과 같은 일화가 있다고 하네요.
어느 봄날 증점이라는 제자가 공자를 모시고 있을 때 공자께서 "네가 하고 싶은 것을 말해보아라"라고 물으셨더니 증점이 대답하기를;
"幕春者 春服旣成 冠者五六人 童子六七人 浴乎沂 風乎舞雩 詠而歸"이라고 대답을 하였다고 합니다.
즉 "늦봄에 봄옷이 이미 지어졌으면 어른 오륙인과 아이들 육칠명을 데리고 기수에서 목욕하고 무우에서 바람쐬고 노래하며 돌아오겠습니다."라고 대답을 했는데, 이 것을 들으신 공자께서 감탄하면서 '나도 너와 함께 하고 싶구나."라고 하셨다고 한 일화를 떠올리며 선생이 여기에 무우대(舞雩臺)를 새겨 놓았을 것이라고 합니다.
그런데 증점의 대답 중 늦봄이라는 "幕春者"는 "暮春者"를 잘못 인쇄한 것이 아닌가 하고요.
(*논어 진사편 25의 원문과 그 번역문을 찾아서 맨 끝에 올려놨습니다. 2005년 12월 31일)
<무우대>
기(沂)는 중국의 산동성에 있는 기수(沂水)라는 강의 이름이고 무우(舞雩)는 비를 내려달라고 하늘에 제사, 즉 기우제를 지내던 무우대(舞雩臺)를 지칭한다고 합니다.
증점의 이와 사고는 지엽적인 정사에 얽매이지 않고 천리유행(天理流行:하늘의 이치에 따라 처신한다)의 이치를 체득한 경지를 말한다고 하는데, 권상하 선생의 족적을 보며는 선생께서는 벼슬의 뜻을 접었던 소시적에 이미 증점과 같은 경지에 도달을 하신것이 아닌가 싶습니다.
글에 한수옹(寒水翁)이라고 서명을 하신것을 보면 아마도 나이가 들어서 쓰신것 같습니다.
<무우대의 위치>
kangjinee...^8^
-------------------------------------------------
논어 선진편25
子路曾晳有公西華 侍坐러니 子曰 以吾一日長乎爾나 毋吾以也하라 居則曰 不吾知也라하나니 如或知爾면 則何以哉오 子路 率爾而對曰 千乘之國이 攝乎大國之間하여 加之以師旅오 因之以饑饉이어든 由也爲之면 比及三年하여 可使有勇이오 且知方也케하리이다 夫子之하시다 求아 爾는何如오 對曰 方六七十과 如五六十에 求也爲之면 比及三年하여 可使足民이어니와 如其禮樂엔 以俟君子하리이다 赤아 爾는何如오 對曰 非曰能之라 願學焉하노이다 宗廟之事와 如會同에 端章甫로 願爲小相焉하노이다 點아 爾는何如오 鼓瑟希러니 爾舍瑟而作하여 對曰 異乎三子者之撰호이다 子曰 何傷乎리오 亦各言其志也니라 曰 莫春者에 春服이 旣成이어든 冠者五六人과 童子六七人으로 浴乎沂하여 風乎舞雩하여 詠而歸하리이다 夫子然歎曰 吾與點也하노라 三子者出커늘 曾晳이 後러니 曾晳이曰 夫三子者之言이 何如하니잇고 子曰 亦各言其志也已矣니라 曰 夫子何由也시니잇고 曰爲國以禮어늘 其言이 不讓이라 是로 之호라 唯求則非邦也與잇가 安見方六七十과 如五六十而非邦也者리오 唯赤則非邦也與잇가 宗廟會同이 非諸侯而何오 赤也爲之小면 孰能爲之大리오
자로와 증석과 염유와 공서화가 공자를 모시고 앉아 있는데 공자가 말씀하셨다.
"내가 너희보다 어른이라고 하여 어렵게 여기지 말라. 평소에 나를 알아주지 않는다고 하니, 만일 알아주는 이가 있다면 어떻게 하겠는가?"
자로가 서슴지 않고 말하기를, "천대의 수레를 가진 나라가 큰 나라 사이에 끼어서 무력 침략을 받고 게다가 기근으로 시달린다 해도, 제가 다스린다면 삼 년 내에 백성을 용감하게 하고, 또 의의 방향을 알도록 할 수 있습니다."
그 말을 들은 공자가 씨익 웃었다.
"구(求:염구)야, 너는 어찌하리오?"
대답하여 말하기를, "사방이 육칠십 리 혹은 더 적은 오륙십 리의 작은 나라를 제가 다스린다면 삼 년 내에 백성들을 풍족하게 할 수 있겠거니와, 예악에 대해서는 군자를 기다리겠습니다."
"적(赤:공서화)아, 너는 어찌 하겠는가?
" 대답하여 말하기를, "제가 능력이 있다는 말이 아니라 배우기를 원합니다. 종묘의 일이나, 회동이 있을 때에 현단 복장과 장보 관을 쓰는 작은 재상이 되기를 원합니다."
"점(點:증석)아, 너는 어찌 하겠는가?"
증석이 거문고를 간간이 두드리다가 쨍그렁 하고 거문고를 밀쳐 놓고 일어나 대답하여 말하기를,
"저는 세 사람과는 다릅니다." 공자가 말씀하셨다.
"무엇을 걱정하는가, 각각 자기의 뜻을 말할 뿐이다."
증석이 말하기를, "늦은 봄에 봄옷을 지어 입고 관을 쓴 사람 대여섯 명과 어린아이 예닐곱 명을 데리고 기수에서 목욕하고 무우에서 바람 쐬면서 시나 읊으며 돌아오겠습니다."
공자가 감탄하며 말했다.
"내 뜻이 점과 같다."
세 사람이 나가고 증석이 남아 있었다.
증석이 말하기를, "저 세 사람의 말이 어떠합니까?"
공자가 말씀하셨다.
"각각 자기들의 뜻을 말한 것뿐이다."
증석이 말하기를, "공자께서는 어째서 유를 비웃으셨습니까?"
공자가 말씀하셨다.
"나라를 예로써 다스려야 하는데 그 사람의 말이 공손하지 않기 때문에 비웃었노라."
"구가 말한 것은 아무리 작아도 또한 나라가 아닙니까."
"사방이 육칠십리나 오륙십리면서 나라가 아닌 나라를 어디서 볼 수 있겠는가."
"적이 말한 것은 나라가 아닙니까?"
"종묘와 회동이 제후가 아니고 무엇인가, 그가 하는 일을 작다고 하면 어떤 일을 크다고 하겠는가."
'바위글씨' 카테고리의 다른 글
바위글씨(6) 광풍제월(光風霽月)-도봉산 (0) | 2006.01.27 |
---|---|
바위글씨(5) 고산앙지(高山仰止)-도봉산 (0) | 2006.01.21 |
바위글씨(4) 염락정파수사진원-도봉산 (0) | 2006.01.05 |
바위글씨(2) 제월광풍갱별전과 도봉서원-도봉산 (9) | 2005.12.22 |
바위글씨(1) 도봉동문 - 도봉산 (0) | 2005.12.16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