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산돌이와 들꽃 일지

북한산(070219)-승가사

2007년 1월 19일, 어제 늦게 성묘에서 돌아와 조금 게으름을 피우고 있다가 친구 우석이에게 산이나 올랐다가 술이나 한잔하자고 전화를 합닌다.
이 친구가 산을 싫어하는 친구인데 왠일인가 싶게 혼쾌히 대답을 하네요.
다른 친구에게 전화를 해보지만 성묘다 뭐다 약속이 있다고 하고, 한 친구는 전화를 받지 않네요.
마침 필요한 책이 몇 권있어 교보문고에서 만나기로 합니다.

<이순신장군 동상>
교보문고에서 필요한 책을 두 권 골라 배낭에 넣고 나니 친구녀석이 웃으면서 나타납니다.
이북오도청가는 버스를 타기위해 광화문으로 나오니 앞에 이순신장군의 대로 한가운데 턱 버티고 있어 사진을 하나 담았고요.


<승가사 산문>
구기동매표소-승가사-승가봉-청수동암문-문수봉-대남문에서 다시 구기동 매표소로 하산하는 코스를 머리에 그리고 산행을 합니다.
이 친구 산을 안다니기에 그러려니 했는데 산길을 제법 걷습니다.

<승가사 석물 들>
이 승가사 옆으로는 가끔 지나지만 절에 들어가본지는 꽤 오랫만입니다.
위의 그림에서 처럼 기계로 돌을 깍아서 만든 계단과 거대한 탑이 종교시설물로서 정성은 배어있지 않고 돈 자랑을 하는 것 같아 내 마음에는 들지 않아 이 곳을 의도적으로 회피했던 것 같습니다.
그런데 친구녀석은 이 석물을 보고는 잘 만들었다고 감탄을 하네요.
<대웅전>
거창한 석물과는 달리 대웅전을 팔작지붕의 우리 전통양식으로 단아하게 모습을 하고 있습니다.


<보물 제 215호 마애석가여래좌상>
대웅전 뒤쪽 계단을 따라 올라가면 약 5m높이의 보물 제 215호 마애석가여래좌상이 자리를 하고 있습니다.
고려 초기인 10세기 경 작품으로 추정하고 있는데 좌우측에 뚤려있는 구멍은 이 석불을 보호하기 위해 덮개를 씌였던 것으로 보이고, 머리 위쪽에 있는 8각형의 뚜껑돌은 머리에 얹혀있는 것이 아니고 뒤쪽의 바위벽에 깨워 놓은 것이라고 합니다.


<보물 제 1000호 승가대사 상>
마애여래좌상의 계단을 다 내려오면 조그만 석굴안에 이 절의 이름과 상관이 있는 인도의 유명한 승려였던 승가대사석상이 있습니다.
불상뒤에 있는 광배에는 연꽃, 당초, 모란, 보상꽃, 불꽃 무늬가 정교하게 조각되어있고, 광배 뒷면에는 '태평4년(고려현종15년;1024년) 지광스님이 동량이 되고, 광유 등이 조각했다.'라는 글자가 새겨있어 정확한 제조 연대를 알 수 있다고 합니다.
<사모바위>
승가사에서 산문으로 내려오다가 슬쩍 주변을 살펴보고는 왼쪽 산기슭쪽으로 올라갑니다.
예전에는 이쪽 등산로로 비봉쪽으로 올라가고는 했는데 지금은 '등산로가 아니라고' 철조망을 둘러놓아 꼭 월장을 하는 기분입니다.
등산로를 따라 얼마를 올라가니 앞에 사모바위가 자태를 들어냅니다.
이쪽에서 보니 바위형태가 '사모바위'라는 이름과 꽤 어울리네요.


<비봉>
그 건너편에 앉아 있는 비봉도 담아봅니다.
비봉 위에 있는 '진흥황순수비 유지비'대신에 진흥왕순수비의 복제품이라도 갖다 꽂아 놓았으면 어떨까 하는 생각을 해봅니다.
승가봉을 넘어 문수봉쪽으로 향합니다.
친구가 초보자인것을 생각하여 청수동암문으로 우회를 하여 대남문으로 향합니다.
대남문에 도착하여 전화를 받지 않던 친구에게 다시 한번 전화를 하니, 이 친구 전화를 받네요.
아까 왜 안받았냐고 했더니 전화를 넣어둔 옷을 다른방에다 걸어 놨던 모양입니다.
정릉에서 같이 합류하기로 합니다.

<대성문>
이 친구의 전화덕분에 바로 코스를 바꾸어 대남문을 거쳐 대성문에서 정릉으로 하산하기로 합니다.
대성문에서 배낭에 있던 막걸리와 안주로 간단히 요기를 하고는 정릉쪽으로 하산을 합니다.
<축성기>
성벽 옆 따뜻한 곳에서 막걸리를 잔을 들다보니 성벽에 새겨진 글씨가 눈에 들어옵니다.
'금영, 감조비장, 장태흥'
아마도 이쪽 구간의 성곽공사를 감독한 감독자의 이름인가 본데, 요즘 부실공사 방지를 위해 실시하고 있는 실명제가 떠오릅니다.
우리 조상들은 그 옛날에됴 이렇게 공사관리를 했건만......
배낭을 정리하고 정릉에서 기다리고 있는 친구와 합류하기 위하여 영추사쪽으로 하산을 합니다.
kangjinee...^8^